* 본 정보는 외교부 중남미 자원인프라 협력센터가 작성한 <중남미 자원인프라 주간동향(2016-11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바로가기
o 중남미의 공항 수요는 지속 상승 중이며, 2015년에는 증가율이 8.2%를 기록
- 중남미는 넓은 국토와 높은 산악지형 등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공항 인프라 건설의 필요성이 높은 지역
- 또한, 중남미 각국의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항공수요가 상승하고 있으며 향후 20년간 중남미 국가내 신흥 중산층의 증가로 인해 항공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 (출처 : Latin Energy & Resources Vol.54, 「한국공항공사의 중남미 진출 현황 및 전략」)
o 중남미 공항 건설 사업은 대규모 투자 자금 조달을 위해 외국인 투자 허용의 비중이 여타 인프라 건설 사업에 비해 높기 때문에 해외 기업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
- 공항 운영 사업의 경우 각 국가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일례로 멕시코는 국영 공항관리회사 3개사인 ASA, GAP, ASUR가 운영을 독점하고 있으며, 브라질의 경우 다수의 국내외 기업에서 운영을 담당
o 한편, 항공컨설팅 전문업체인 아시아태평양항공센터(CAPA)에 따르면, 향후 중남미에서 진행될 공항 프로젝트는 총 318개로 전세계의 13.6%임. 그러나 투자액은 342억 불로 전세계 공항 건설 총 투자금액의 6.3%에 불과한바, 중남미 항공 건설 사업의 규모는 여타 지역의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분석
<중남미 각국 주요 공항 확장 사업> (2015년 기준)
도시 (국가) |
예상 투자금액 (백만불) |
현재 수용능력 (백만명) |
향후 수용능력 (백만명) |
사업 종료년도 |
벨루오리존치 (브라질) |
666 |
10 |
20 |
2015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888 |
17.5 |
30 |
2016 |
산티아고 (칠레) |
700 |
9.5 |
29 |
2030 |
보고타 (콜롬비아) |
1,250 |
14 |
20 |
2016 |
뿐타 까나 (도미니카공화국) |
100 |
5 |
10 |
2015 |
산살바도르 (엘살바도르) |
490 |
1.6 |
6.6 |
2032 |
깐꾼 (멕시코) |
750 |
15 |
25 |
2016 |
멕시코시티 (멕시코) |
321 |
32 |
- |
2018 |
파나마시티 (파나마) |
840 |
9 |
18 |
2026 |
아순시온 (파라과이) |
264 |
1.2 |
2 |
2017 |
치끌라요 (페루) |
128 |
- |
- |
2015 |
리마 (페루) |
1,000 |
10 |
- |
2030 |
삐우라 (페루) |
231 |
- |
- |
2023 |
바르끼시메또 (베네수엘라) |
413 |
- |
- |
2015 |
(출처 : 유엔 중남미카리브경제위원회(ECLAC))
* 정보출처 : Portal Informativo Industrial 2016.3.13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