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콜롬비아 교통부의 2월 말 발표에 따르면, 정부는 향후 84.8조 페소 규모의 교통 인프라 투자를 계획 중이며, △민관합작 양허사업(50조 페소), △비양허성 도로 건설(28.2조 페소), △항만 및 하천 관리(4조 페소), △항공 연결성(2.6조 페소)에 동 투자액을 집행할 예정
- 이를 통해 정부는 복합운송(intermodality) 체계를 강화해, 현재 상업 분야 매출액의 12.6%를 차지하는 물류 비용을 9.6%로 절감하고, 운송 소요 시간도 낮춰 인근 국가에 맞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
ㅇ (도로망 확충) 약 3,000km의 지선·간선 도로망 확충 및 터널의 운영·관리 강화와 더불어 ‘완전한 평화를 위한 공동의 길’이라는 농촌·도서산간 소규모 도로정비 이니셔티브(33,102km)를 통해 균형 잡힌 모빌리티 발전과 지역 연결성 강화
ㅇ (철도 재활성화) 현재 콜롬비아에는 3,500km에 이르는 철도가 있으나 이중 50%만 활용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공공 인프라 투자의 77.4%가 도로에 집중된 반면, 철도에는 1.8%만이 투자되어 불균형이 심하기에, 철로 정비 및 재활성화를 통해 도로·차도 의존도를 낮출 예정
ㅇ (항공 연결성) △Cartagena 공항 기존청사 리모델링 및 국제선 신청사 건립에 4,900억 페소 투자(일자리 13,000개 창출), △San Andres 공항 에어사이드 및 랜드사이드 현대화·유지보수에 3,000억 페소 투자(일자리 8,000개 창출), △Bayunca, Palmira, Neiva 시 신규 공항 터미널 건설 타당성 평가 진행중, △정부 이니셔티브 ‘필수 항공 서비스’를 통해 육로 연결성이 매우 낮은 지역 대상 항공 운영 재개 및 취항 추진
ㅇ (하천 주운 사업) 정부는 다양한 하천 주운 프로젝트를 통해 물류 시스템 비용 절감, 경쟁력 제고, 온실가스 저감을 달성할 계획
- 총 87개 시에 1조 페소를 투입해 207개의 강변 계류장을 건설, 200만 명이 넘는 콜롬비아 국민이 혜택을 볼 예정
* 출처: 주콜롬비아대한민국대사관(현지 언론 및 정부 홈페이지 등 보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