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글로벌 인프라 허브(Global Infrastructure Hub)*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Oxford Economics)가 공동으로 발간한 ‘세계 인프라 전망 보고서(Global Infrastructure Outlook)’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인프라 구축 비용은 2040년까지 94조 불에 이르며, 이를 위해 인프라 분야 연간 투자 비용이 세계 GDP의 3.5% 수준까지 증가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됨.
 * 2014년 G20 정상회의 협약에 의해 설립된 기관으로 전 세계 인프라 분야에 대한 정부 및 민간 투자 기회 확대를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영국, 호주, 중국, 싱가포르, 한국 등이 자금을 출연하여 설립함.
    - 동 보고서는 전 세계 50개* 국가, 7개** 인프라 분야에 대한 국가별, 분야별 인프라 투자액 분석, 투자 예상 현황 및 전망 등이 수록된 인프라 투자 분석 자료
 * 전 세계 GDP의 85% 이상을 차지
 ** 도로, 전기, 철도, 통신, 수자원, 공항, 항구
    -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까지 세계 인구는 20억 명이 증가하고, 도시 인구가 46%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현재의 추세대로 투자가 이루어 질 경우 2040년까지 약 15조 불의 투자액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프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연간 3조 7천억 불 투자 필요
 
 ㅇ 동 보고서에서 중남미 국가들은 총 9개국*이 포함된바, 중남미 지역의 필요 투자액(investment needs)은 전 세계 투자액의 6.1%인 5조 8천억 불로, 예상 투자액(current trends)은 전 세계 투자액의 4.3%인 3조 4천억 불이었으며, 이들의 차이는 2조 4천억 불로 조사됨.
 * 칠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파라과이, 페루. 이중 2개국(칠레, 우루과이)은 상위 소득국(High Income), 나머지 7개국은 상중위 소득국(Upper Middle Income)으로 나타남.
    - 중남미 지역 인프라 구축은 주로 도로 및 전력 분야에서 추진되며, 역내 대국인 브라질을 중심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
 
<2016-2040년간 중남미 주요국 인프라 구축 비용 현황>

(단위 : 억 불)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페루

콜롬비아

칠레

필요 투자액

1조 5천2백4십

5천2백2십

4천5백2십

3천2백7십

2천3백8십

2천1백2십

예상 투자액

2조 7천1백3십

1조 6백6십

8천1백

3천9백9십

3천3백9십

2천6백4십

투자액 차이

1조 1천8백9십

5천4백4십

3천5백8십

7백1십

1천

5백3십

 

에콰도르

파라과이

우루과이

중남미

세계

필요 투자액

7백9십

5백8십

4백9십

5조 8천억 불

94조 불(6.1%)

예상 투자액

1천3백5십

7백6십

5백9십

3조 4천억 불

79조 불(4.3%)

투자액 차이

5백5십

1백7십

1백

2조 4천억 불

15조 불(16%)

 

 
* 정보 출처: Reuters, Global Infrastructure Hub 홈페이지, 2017.7.25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