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의 대 한국 주요 수출품목인 대왕오징어가 해수온 변화 등으로 어획량이 크게 감소한바, 관련 내용 아래와 같음.
1. 페루의 대왕오징어 관련 업황 변동 배경
ㅇ 페루는 3,000km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훔볼트 해류 덕분에 풍부한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주요 수산물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해 옴.
* `24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페루는 세계 5대 수산물 생산국임.
ㅇ 최근 페루 내 라니냐(La Nina) 현상과 제3국 어선의 불법조업 확대로 대왕오징어(Pota) 어획량이 급감함.
- 2024년 페루 해수온은 전년 대비 평균 2도 이상 하락하면서 어획량이 대폭 감소 하였으며, 조업 성수기인 11~5월에도 낮은 해수온을 기록함.
- 페루 내 최소 300척 이상의 불법조업 선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페루 정부의 대응은 미흡한 상황임.
* 페루국립영세어업협회는 페루 200해리 이내에서 300척 이상의 중국 선박 출현을 확인하고, 중국 선박 조업이 페루의 대왕오징어 어획량 감소를 초래했다고 평가
<’23~24년 페루 중부지역 월별 해수온(단위 : °C)>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 |
15.3 |
18.5 |
20.4 |
19.7 |
20.0 |
19.6 |
19.9 |
18.4 |
17.1 |
16.4 |
16.5 |
17.8 |
2024 |
18.6 |
18.6 |
18.2 |
16.8 |
16.1 |
15.8 |
15.3 |
15.0 |
14.8 |
14.9 |
14.9 |
15.3 |
변화 |
+3.3 |
+0.1 |
-2.2 |
-2.9 |
-3.9 |
-3.8 |
-4.6 |
-3.4 |
-2.3 |
-1.5 |
-1.6 |
-2.5 |
* 출처 : 페루 생산부(PRODUCE)
2. 생산 현황
ㅇ ‘24년 1~9월 대왕오징어(Pota) 생산량(*)은 182,137톤으로 전년 대비 67.8% 감소했으며, 특히 9월 한 달간 생산량은 92.8%까지 감소함.
* 통조림, 신선냉장?냉동 가공품 생산량
<’23~24년 월별 대왕오징어 생산량(단위 : 톤,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 |
60,966 |
101,446 |
94,979 |
80,134 |
78,008 |
60,988 |
40,749 |
29,970 |
18,540 |
13,589 |
15,521 |
26,965 |
2024 |
14,727 |
25,389 |
21,081 |
14,724 |
21,147 |
44,476 |
32,135 |
7,117 |
1,340 |
- |
- |
- |
증감 |
△75.8 |
△75.0 |
△77.8 |
△81.6 |
△72.9 |
△27.1 |
△21.1 |
△76.3 |
△92.8 |
- |
- |
- |
* 출처 : 페루 생산부(대왕오징어 생산 통계자료는 `24년 9월 자료까지 공개)
3. 내수 판매 및 유통가격
ㅇ ‘24년 10월 기준, 페루 내 대왕오징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4.3% 감소함.
- 원재료 공급 감소로 리마(Lima) 및 카야오(Callao) 도매시장에서 대왕오징어 공급량은 50.4% 감소했으며, 이는 유통가격 증가로 이어져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음.
ㅇ `23년 기준 페루 내 대왕오징어 유통가는 1kg당 6~6.5솔(약 1.6달러) 이었으나, 최근 17.5솔(약 4.7달러)까지 상승하는 등 약 3배 이상 증가함.
*출처: 주페루대한민국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