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선 동향: 여론조사 결과
ㅇ (투표 의향 조사) 우루과이 여론조사 기관 Factum은 6.1-11간 시민 9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의향조사(금주 일요일이 대선이라는 가정 하) 결과를 6.17(월) 발표함.
광역전선(FA) |
연립정부(Coalicion) |
대중통합(UP)-노동자전선 (PT) 연합 |
그 외 정당 |
기권표 |
|||
백당 (PN) |
홍당 (PC) |
열린의회당 (CA) |
독립당 (PI) |
||||
43% |
30% |
12% |
5% |
3% |
1% |
2% |
4% |
ㅇ Factum사 Bottinelli 소장은 19.10월 대비 FA 지지율은 4% 증가, 연립정부는 4% 감소하여 10월 대선은 2차 결선투표로 이어질 가능성이 지배적이라고 언급함.
- Bottinelli는 연립정부 소속의 각 정당에 대한 지지율이 결선투표 단일화 투표에 그대로 반영되기 보다는 더 낮게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첨언
2. 연금개혁 법령 무효화 관련 국민투표 추진 동향
ㅇ 연금개혁 법령 무효화 국민투표 추진 관련, 최근 우루과이 주식거래소 Nobilis는 연금개혁 법령 무효화 시 우루과이 경제가 입을 타격에 대한 보고서를 아래 내용으로 발표함.
ㅇ Nobilis는 1995년 설립된 민간연금공단(AFAP)으로 인해 ▲우루과이 국가 부채의 탈달러화, ▲해외 융자가 어려운 시기(팬데믹 등)의 국내 자금 조달 원활화 등의 혜택이 있었다고 강조함.
- 2023년에는 민간연금공단(AFAP)의 자금 중 21%에 해당하는 47억 불을 농축산업, 산림업, 인프라, 부동산 프로젝트 등에 투자
ㅇ 동 보고서에 의하면 연금개혁 법령 무효화를 통한 민간연금공단 해체 시 우루과이 경제에 다음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됨.
- (재정 불안) 연금개혁 법령은 국가 재정의 수입과 지출간 균형이 잡힌 연금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바, 해체 시 재정 적자와 부채 증가 예상
- (국가 리스크 증가) 금융 시장은 국가 경제 정책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는바, 연금개혁 법령 무효화 시 우루과이의 장기적 재정규율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후퇴로 비칠 위험 존재
- (재정 지원 비용 인상) 인프라 및 경제 개발 프로젝트의 재정 지원 비용이 인상되어 국가 경제 발전 저해
-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부정적 평가) 국가 리스크 및 재정 불균형 증가로 우루과이의 국채가 하락하여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귀결
- (민간 저축 및 투자 위축) 개인의 저축과 투자가 하락하여 인프라 및 경제발전 프로젝트 재정 지원에 어려움 예상
- (법적 제도에 대한 불신) 국내 및 국제 투자자들의 우루과이 법적 제도에 대한 불신으로 향후 투자 유치에 어려움 예상
ㅇ 선거법원은 6.17 기준 국민투표 실시에 필요한 총 27만개 서명 중 212,925개를 인정한바, 6.24(월)까지는 현재 남은 13.6만 개 중 일부 검토 이후 국민투표 실시 여부를 확정할 것으로 예상됨.
3. 몬테비데오, 남미에서 외국인 생활비가 가장 높은 도시 등극
ㅇ 머서(Mercer) 컨설팅사가 최근 발표한 「2024 외국인 생활비 높은 도시」 보고서에 의하면 몬테비데오가 남미에서 외국인 생활비가 가장 높은 국가(세계 42위)로 집계됨.
※ 미국의 머서 컨설팅사는 매년 전세계 주요 200개 도시 대상으로 외국인 생활비가 높은 도시를 발표
- 역내 도시들 중 ▲부에노스아이레스(77위), ▲상파울루(124위), ▲칠레(160위), ▲보고타(174위) 등이 생활비가 높은 도시로 선정
ㅇ 조사 대상이 된 도시 대부분은 높은 주택 임대료,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 감소 등의 이유로 외국인 인력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출처: 주우루과이대한민국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