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수출입은행, 도(공) 수출입은행(Bandex)과 MOU 체결
o El Caribe紙는 3.31.(목) 보도 자료를 통해 3.23.(수) Bandex에서 도(공) 수출입은행(Bandex)과 한국 수출입은행(Eximbank)은 최대 1억 불 규모의 양국 간 수출입을 위한 경제 협력 및 사업 개발 기회를 촉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보도함.
- Bandex Juan Mustafa 총재는 상기 기금을 통해 항구 개발, 천연가스터미널 건설 등 인프라 부문, 식수 개선, 폐수 처리 공장 건설 및 재생에너지 등 환경 및 에너지 부문, 전기 자동차 등 운송 부문, 사이버 보안, 5G 및 6G 등 정보통신기술 부문, 농업기술 향상 교류 등 농업 부문, 첨단 의료장비, 원격 진료 및 백신 보급 등 의료 보건 부문 등에 금융 지원을 목표로 양국 간 MOU를 체결했다고 언급함.
2. 자유무역지구(ZF) 의료기기 부문 수출액 미화 18.83억불 달성 발표
o 도(공) 자유무역지구협회(ADOZONA) Omar Jimenez 의료기기 클러스터(CDM) 총괄국장은 2021년 주재국의 의료기 제품 수출액은 미화 18.83억불 달성했으며 2022년도 목표 수출액은 미화 20억불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언급함.
- Jimenez 국장은 도(공)의 ‘2022~2026년 CDM 전략 계획'을 토대로 민·관 합동으로 의료 기기 수출 강화 및 전문 의료 인력에 대한 고용 창출을 확대하고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니어쇼링 투자는 주재국 의료기기 분야에 경쟁력을 갖춘 新산업 중 하나라고 강조함.
- 아울러, 도(공) ZF에서 생산하는 의료기기 수출 품목은 도뇨관(Catheter), 개구 수술(ostomy), 이식형 심박 제세동기, 흉관 배액기, 혈액 플라즈마 분리 장비, 뇌수종 환자 제품 및 생체 조직 검사를 위한 의료용 바늘 등이며, 주로 미국, 개발도상국, 일본, 독일, 중국, 이탈리아, 호주, 뉴질랜드, 홍콩 및 싱가포르에 수출되고 있다고 언급함
3. 국세청(DGII), 자동차 구입 및 공증 수수료 현금 지불 규제 조례 발표
o 3.29.(화) 국세청(DGII)은 자동차 구입 및 공증인의 현금 지불 규제에 관한 조세 규정을 발표함.
- DGII는 자금 세탁, 테러 자금 조달 및 대량 살상 무기 확산에 관한 금지 법률(155-17)에 의거 자동차(06-2022) 및 공증인(07-2022)의 현금 지불 규제 관한 조례를 3.29.(화) 공표하고 180일 이내에 발효될 예정이라고 언급함.
- 상기 조례는 자동차(25만페소) 및 공증인 수임료 발생에 대한 현금 지불을 규제하고 ‘신뢰할 수 있는 증빙(Constancias Fehacientes)'을 국세청에 제출하여 자금 세탁 및 테러 행위에 대한 자금 조달을 방지하기 위해 출처를 명확히 하고자 상기 조례를 공표함.
4. Abinader 대통령, ‘2020~2030 수출 진흥을 위한 국가 계획(PNFE)’ 세미나 참석
o 3.28.(월) Abinader 대통령은 '2020~2030 수출 진흥을 위한 국가 계획(PNFE)' 보고 발표에 참석하고 2021년 도(공) 수출액은 미화 124.83억불 달성함으로써 도(공)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언급함. 또한 Abinader 대통령은 2030년까지 수출 촉진을 위한 국가 계획에서 제안된 280개 조치안을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공공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PNFE를 통해 경제 성장, 고용 창출 장려 및 외화 유입 촉진에 대한 이행을 재확인할 수 있다고 부연함.
- 아울러, 수출 진흥청(Prodominicana) Biviana Riveiro 청장은 2021년 중소기업 부문 수출액은 미화 2,700만불을 달성했으며 전년 대비 10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보고하고 부문별 수출의 증가는 국가 전체 수출 21%, 자유무역지구(ZF) 22%, 농수산품 7%, 광물 8%, 산업 수출 25%로 각각 성장하여 2021년은 도(공) 수출 역사상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한 해 였다고 언급함. 또한 1인당 수출 증가율은 20% 이상 증가했으며, GDP 대비 상품 수출 확대는 13.21%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보다 5% 증가했다고 강조함.
* 출처: 주도미니카공화국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