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쿠바의 니켈 생산량은 가격 하락과 플랜트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급감하고 있는바, 쿠바 정부는 금년도 생산량을 5만 6천 톤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발표
- 페드로 소토 알바(Pedro Sotto Alba) 플랜트에서 37,500톤을, 체 게바라(Che Guevara) 플랜트에서 18,500톤을 생산할 계획
※ 쿠바 니켈 플랜트는 총 3개로, 1943년과 1955년에 미국이 건설한 René Ramones와 Pedro Sotto Alba, 1955년에 소련이 건설한 Che Guevara임. 현재 가동중인 플랜트는 Pedro Sotto Alba(쿠바 정부와 캐나다 Sherrit International Corporation사 공동 운영)와 Che Guevara(쿠바 정부 운영)로 Che Guevara 플랜트의 경우 노후화가 심각하여 연간 30,000톤 생산능력의 61%인 18,500톤만 생산 가능 (*참고: EcuRed, "Industria Minera (Cuba)")
o 니켈은 쿠바 최대의 광물 자원으로 생산량은 1994년 26,900톤을 기록한 이후 지속 증가하여 2000년 이후부터 7∼8만톤을 유지함. 또한, 국제 니켈가격 상승에 따라 니켈 수출액(주요 수출국은 중국, 유럽, 캐나다)이 2002년 4억 3천만 불에서 2007년 23억 불까지 증가함. 그러나 2009년 이후 국제 니켈가격이 하락하였고 최근 2년 사이 톤당 14,000불에서 8,600불까지 감소함에 따라 수출액이 급감하여 6억 불까지 하락
<세계 니켈 생산량 및 매장량>
|
국가명 |
생산량(톤) |
매장량(톤) |
|
2015년 |
2014년 |
|||
1 |
필리핀 |
530,000 |
523,000 |
3,100,000 |
2 |
러시아 |
240,000 |
239,000 |
7,900,000 |
3 |
캐나다 |
240,000 |
235,000 |
2,900,000 |
4 |
호주 |
234,000 |
245,000 |
19,000,000 |
5 |
뉴칼레도니아 |
190,000 |
178,000 |
8,400,000 |
6 |
인도네시아 |
170,000 |
177,000 |
4,500,000 |
7 |
캐나다 |
240,000 |
235,000 |
2,900,000 |
8 |
중국 |
102,000 |
100,000 |
3,000,000 |
9 |
콜롬비아 |
73,000 |
81,000 |
1,100,000 |
10 |
쿠바 |
57,000 |
50,400 |
5,500,000 |
11 |
남아프리카공화국 |
53,000 |
55,000 |
3,700,000 |
12 |
과테말라 |
50,000 |
38,400 |
1,800,000 |
13 |
마다가스카르 |
49,000 |
40,300 |
1,600,000 |
14 |
미국 |
26,500 |
4,300 |
160,000 |
15 |
기타 |
410,000 |
377,000 |
6,500,000 |
총합 |
- |
2,530,000 |
2,450,000 |
79,000,000 |
*출처: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16
o 쿠바 국영니켈생산회사인 Cubaniquel의 Eder Oliveros 사장은 니켈 가격의 장기 침체와 플랜트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쿠바 니켈 산업이 고전하고 있지만, 향후 해외 투자를 유치를 통해 니켈 생산량을 증대시킬 계획이며, 신규 니켈 플랜트 건설 사업에 중국,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언급
*출처: Reuters, EFE, 2016.6.15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