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광물·자원
※ 본 웹진에 게재된 내용은 외교부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니다.
중남미 광물·자원 진출 현황과 전망
한국광해광업공단 해외협력팀 박영후 팀장
□ 우리기업의 중남미 광물·자원시장 진출 현황

ㅇ 한국광해광업공단은 2013년부터 칠레, 페루와 핵심광물, 동광, 희유금속 위주로 개발 및 기술협력 등에 관한 MOU를 체결(총 11건)해왔으며, ▴MOU뿐만 아니라 ▴투자 및 ODA 프로젝트 추진, ▴해외 사무소(칠레) 운영 등을 통해 대중남미 자원협력 강화 지속
-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중남미 자원개발 대표 사업으로는 ▴멕시코 볼레오 동광사업(82.74% 지분 보유), ▴파나마 코브레파나마 동광사업(10% 지분 보유), ▴페루 마르코나 동광사업(현재 사업종료로 매각) 등이 있음

ㅇ 한국광해광업공단, LS MnM, 고려아연,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등 우리기업들은 중남미* 총 63개 사업에 56억 불(전체(198.8억 불)의 28.2%)을 투자하였으며, 동 사업들은 ▴진행(13개), ▴휴광(5개), ▴중단(16개), ▴종료(29개) 상태
* 사업대상국은 멕시코,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콜롬비아, 파나마, 페루 등으로 다양

< 표1. 우리기업의 대중남미 진출 현황(’23.11) >

구분 진행사업 종료
실진행사업 휴광 중단
탐사 개발 생산
사업수 3 4 6 5 16 29 63
광종수 3 3 3 4 6 9 13
투자액(US$M) 1.6 551.4 3,869.2 14.9 2.6 1,172.8 5,612.5
□ 중남미 주요 광물 부존 현황

ㅇ 중남미는 전통적인 자원(▴동광, ▴철광석, ▴아연광, ▴리튬(염호형), ▴유연탄 등) 부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 세계적인 자원개발 붐으로 풍부한 광물 매장량을 자랑하는 동 지역은 주요 광물 공급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

< 표2. 광종별 부존 현황 >

광물 주요 내용
· 칠레-페루-에콰도르-파나마-멕시코로 연결된 ‘안데스산맥 환태평양 코퍼벨트’에서 주로 생산
·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안데스산맥 주변부에서 산출
리튬 · 중남미 리튬 트라이앵글(염호형 리튬)인 칠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에 주로 분포
연·아연 · 볼리비아, 페루 등 안데스 화산활동과 관련된 지역에 주로 분포(스카른형 등)
주석 · 브라질(4위)과 볼리비아(5위) 주석 벨트에 주로 분포
· 브라질이 세계 주요 철 생산지(BIF, Banded Iron Formation)
· 칠레, 페루 등 IOCG형 광상에서 동광의 공존 부산물로 산출
바나듐, 희토류 · 브라질은 바나듐의 주요 매장국(5위)이며, 모나자이트(사광상) 형태의 희토류(4위) 부존
유연탄 · 콜롬비아 북부 지역은 세계적인 유연탄(발전탄) 생산지
· 콜롬비아 내륙에는 고순도의 유연탄(제철용)이 부존되어 있으나 운송 인프라가 열악

ㅇ 그러나 ▴최근 확대되고 있는 중남미 내 자원민족주의 및 자원 국유화 움직임, ▴비교적 열악한 인프라, ▴정치적 불확실성, ▴주요 사업의 인허가 지연, 취소 및 변경 등은 대중남미 자원개발 진출 확대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

□ 우리 정부의 핵심광물 확보 전략

ㅇ 우리 정부는 금년 2월 ‘안정적인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를 통한 첨단산업 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한 핵심광물 확보전략을 발표했으며, 전기차, 2차전지 및 반도체 분야에 활용되는 광물들을 10대 전략 핵심광물*로 선정해 집중 관리
* 10대 전략 핵심광물: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흑연, 희토류 5종

< 표3. 정부의 핵심광물 확보 전략(’23.2) >

위기대응능력 강화 핵심광물 확보 다각화 체계적인 핵심광물 인프라 구축
(수급지도 개발) 글로벌 광산 지도 및 핵심광물 수급지도(Map) 개발 (자원협력 강화) 양자 및 다자협력 확대 (법·제도 정비) 핵심광물 확보·관리 제도적 기반 마련
(국내·외 자원개발 활성화) 민간주도, 공공지원 개발체계 확립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수급 상황 진단체계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재자원화 기반조성) 핵심광물 순환모델(회수-재자원화-유통) 구축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전문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확대
(비축 확대) 핵심광물 비축 확대 및 유사시 신속대응 능력 강화

ㅇ 특히 핵심광물 수급지도(Map) 개발을 통해 중남미와의 광물·자원 협력 확대 강화 도모
- (글로벌 광산지도) 단계별(탐사·개발·생산) 광업권, 매장량, 인프라 등의 정보를 포함한 지도 개발을 통해 우리기업이 핵심광물 확보에 필요한 해외광산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
- (핵심광물 수급지도) 국가별·광종별 매장량 및 생산량 현황, 수출입 등 공급망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글로벌 핵심광물 수급정보 통합 지도를 개발(~’24년)하고 매년 해당 정보를 현행화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