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플러스
※ 본 웹진에 게재된 내용은 외교부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니다.
‘2024 중남미 진출전략’ – KOTRA(11.30)
코트라는 매년 세계 128개 무역관에서 입수한 현장 정보를 토대로 권역별·국별 진출전략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음. 본 보고서는 중남미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기업들이 중남미 시장을 조망하고 2024년 對 중남미 시장 진출전략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시장 평가, ▴’24년 주요 이슈 및 전망, ▴비즈니스 환경 분석, ▴대중남미 진출전략 등의 정보를 제공함.
‘중남미 바이오의료 진출 가이드북’ – KOTRA(11.1)
중남미 바이오의료 진출 가이드북은 중남미 의료 및 의약품 시장 진출에 관심이 있는 우리 기업들에게 중남미 6개국*의 ▴인구 현황, ▴주요 질병과 사망 원인, ▴소비자 특성과 함께 의료 부분 관련 중남미 의료시스템 및 역내 국별 건강보험제도 특징, 보건의료 정책 동향, 디지털헬스케어 정책 동향에 대해 설명함. 아울러, 의약품 및 의료기기 산업 부분과 관련하여 중남미 의약품 및 의료기기 시장, 동 분야 중남미 진출 한국기업, 관련 단체 현황, 중남미 의약품・의료기기 인허가 등록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페루,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대선 결선투표 결과 및 평가’ – 국제금융센터(11.20)
11.19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대선 결선투표 결과 야당 연합의 Javier Milei 후보가 집권 여당 연합 후보를 제치고 당선이 확정되었으며, 이는 아르헨티나가 직면한 극심한 경제난 속에서 현 정권에 대한 책임론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됨. 동 보고서는 정부 재정 균형 의지를 천명한 Milei 후보의 당선으로 인해 재정 건전성 개선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언급하는 한편, 중앙은행 폐쇄 및 달러 공용통화 채택 등의 공약으로 예상되는 외환시장의 혼란과 아르헨티나의 브릭스(BRICS) 가입의 불투명성, 향후 중국과의 관계 등 외교 노선의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